연구 분야
BPERC 는 국내 17개 대학 40여명의 교수가 참여하고 있으며 발효공정, 생물반응기 및 공정제어, 효소공정, 세포 및 조직배양, 생물분리공정 및 의약전달공정의 6개 연구실, 행정지원실과 pilot-plant로 조직되어 있다.
1. 생물공정 기초
생물반응기 설계 연구
고농도 세포 연속생물반응기를 이용하여 생물반응기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중점을 둔다. 이외에도 기포탑 반응기, 막반응기, 세포고정화, 유가식 배양, 추출 생전환 시스템, 특정 생산물 생산을 위한 생물 반응기 개발, 생물 반응기의 scale-up 등을 포함한다.
분리 및 정제연구
정제단계를 단축시키고 각 단계당 수율을 향상시켜 기존의 정제 방법보다 경제적으로 만드는데 중점을 둔다. 연구분야로는 reversed micelle, microcapsule system, 초임계 유체 추출, 크로마토그라피, 용매추출, 반응증류, 투과증발 등을 포함한다
생물공정의 모니터링 및 제어
생물반응기 조업을 위한 적응 및 최적화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pilot-plant 규모에서 실험적으로 적용한다. On-line 추정과 모니터링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인공지능의 이용과 생물공정 자동화에 대한 연구도 수행한다.
2. 생물공정 응용
유전자 재조합 생산물 공정
유전자 재조합 균주의 개발은 물론 이의 발효에 관련된 생물반응기 제어 및 최적화 연구, 그리고 생산물의 정제를 위한 공정의 개발을 수행한다.
효소공학
유기용매에서의 효소 촉매 이용 및 생촉매를 이용한 석유화학 제품의 생산연구와 단백질 공학에 의거한 효소 연구를 수행한다.
바이오센서
각종 분석 측정용은 물론 환경감시 및 생물공정의 모니터링을 위한 바이오 센서의 개발을 수행한다.
동 식물세포배양
동물, 식물, 곤충 세포배양, 단일군항체생산, 유전자조작 세포로 부터 의약품 등 유용물질 생산을 수행한다.
환경 미생물학
생고분자 및 생분해성 플라스틱 생산과 쓰레기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조류의 배양 및 유기물의 호기성 배양을 한다.
생물체로부터 에너지 생산
전분과 셀룰로우즈를 이용한 알콜 생산, 에너지 절감 및 고생산성 생물공정 개발을 중점적으로 행한다.
식품공정의 단위조작
막의 사용 등 기존의 식품공정에 화학공정에서 널리 적용되는 공정기술을 적용하여 개선하는 연구를 수행한다.
생의학 공학
Liposome이나 인공 내장기 설계를 통한 투약 시스템의 개발을 수행한다.